국민총소득, 우리의 경제 건강도를 측정하는 지표

국민총소득(Gross National Incom,GNI)은 우리 경제를 건강도를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중의 하나로, 국가의 경제적 성과와 국민들의 생활 수준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는 통계지표입니다.

국민총소득의 정의

국민총소득(GNI)는 특정기간 동안 국내와 해외에서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합한 값으로,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GDP)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GNI는 국내총생산(GDP)에 자국민(거주자)이 국외로부터 받은 소득(국외수취요소소득)은 포함하고, 외국인(비거주자)에게 지급한 소득(국외지급요소소득)은 제외하여 산출하게 됩니다.

국민총소득(GNI) = 국내총생산(GDP) + 국외수취요소소득 - 국외지급요소소득


국민총소득( GNI) 구분


명목국민총소득

1인당 국민소득, 국가경제규모등을 파악하는데 이용되는 지표로 우리나라 국민이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 생산활동에 참여한 대가로 벌어들인 명목 총소득을 의미하므로 명목 GDP에 명목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을 더하여 산출합니다.

실질국민총소득


우리나라 국민이 국내는 물론 국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의 실질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실질 GDP에서 외국인이 국내에서 벌어간 실질 소득은 차감하고 우리 국민이 국외세어 벌어들인 실직 소득은 더하여 산출합니다.

국민총소득은 일반적으로 1인당 국민 총소득으로 표현합니다. 1인당 국민 총소득은 국민총소득을 전체 인구 수로 나눈 값으로, 국민들이 평균적으로 받는 소득 수준을 나타냅니다.

1인당 국민 총소득 = 국민총소득(GNI)/ 전체 인구수



▷ 한나라의 경제력이나 경제규모는 그나라 국민 전체가 벌어들인 명목 국민 총소득으로 비교할수 있지만 한나라 국민의 생활수준, 후생 수준의 비교는 1인당 국민소득으로 비교하는 것이 더 적합합니다. 왜냐하면 국민총소득이 같은 규모의 국가라 하더라도, 국가별로 인구수에따라 개인 한사람의 소득에는 큰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국민의 복지상태는 평균적인 소득 수준과 밀접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으로 각국과 비교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널리 통화되고 있는 미 달러화를 기준으로 발표하고 있습니다.


money
 


1인당 국민총소득 GNI 활용


1. 국가간 경제력 비교

1인당 국민총소득은 국가간의 경제적 성과를 비교할때 주요 지표로 활용되며, 고소득국가와 저소득국가의 차이를 분석하고, 경제 발전 정도를 비교하는데 사용합니다.

2. 경제 정책 수립

경제성장과 개인 소득 증가를 촉진하는 정책의 효과를 평가하고, 개선방향을 모색하는데 활용됩니다.

3. 사회적 문제 분석

소득 격차와 빈곤문제 등의 사회적 문제를 파악하는데 활용되며, 소득분배의 공정성과 사회적 평등성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동할수 있습니다.

▷1인당 국민소득은 경제적인 측면만을 반영하는 지표이기때문에 경제 외적인 요인들을 고려하지 않으면 왜곡된 결과를 가져올수 있습니다. 또한 평균적인 소득 수준을 파악할수는 있지만 소득 분배의 공정성을 반영하지는 않습니다. 소득 격차와 빈곤 문제등과 같은 사회적인 측면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른 지표들과 함께 고려되어야 합니다.


1인당 국민총소득의 한계


1. 국민총소득은 시장에서 거래되는 서비스의 부가가치만을 계산하고 거래되지 않는 서비스의 가치는 전혀 포함하지 않음 ( 가정내 육아, 빨래, 요리 등)

2. 밀수, 사채거래등 비관측 경제의 포착이 어렵움

3. 여가활동을 포함하지 않음

4. 경제 활동과 더불어 발생하는 부작용을 반영하지 않음 (환경파괴, 복지수준 저하 등)


NEW(Net Economic Welfare)

1인당 국민 총소득의 한계를 대체하고자하여 NEW(Net Economic Welfare)를 제시하였지만 정확한 산정에 있어서의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NEW = 국내총생산(GDP) + 여가(비관측 경제) - 환경오염 관련 비용

green GDP

녹색(Green) GDP : 국내총생산(GDP)중에서 이를 생산하는 데 발생된 환경 손실분을 제가한 후의 GDP

Green GDP = 국내총생산(GDP) - 환경오염관련비용



용어


◎ 국외순수취요소 소득

한나라의 국민이 국외에서 노동, 자본등의 생산 요소를 제공한 대가로 받은 소득
국외순수취요소소득 = 국외수취요소소득 - 국외지급요소소득

◎ 국외지급요소 소득

국내의 외국인이 생산활동에 참여함으로써 발생한 소득

◎ 구매력 평가(PPP, purchasing power parity)

국가간 화폐의 구매력을 동일하게 해주는 통화 교환비율을 계산한 것으로, ppp 환율은 동일한 재화와 서비스의 구매에 대해 각국 통화로 표현대는 상대 가격 비율
다음 이전